자바(3)
-
팩토리 패턴
팩토리 패턴 우아한테크코스 코드리뷰를 하며, 팩토리 패턴을 사용하는 코드를 읽어볼 수 있었다. 하나의 일급 컬렉션에 생성, 검증, 로직 들을 모아 두었던 저의 코드들에 비해 관심사의 분리가 확실히 되어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보다 클래스가 간단해 진다는 장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팩토리 패턴들에 대해 공부해 보고 기회가 될때 적용해보려고 한다. 참고 자료 https://bcp0109.tistory.com/366 https://bcp0109.tistory.com/367 https://bcp0109.tistory.com/368 심플 팩토리 패턴 심플 팩토리 패턴은 팩토리 패턴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팩토리 메서드 패턴과 추상 팩토리 패턴의 베이스가 되는 패턴이다. 심플 팩토리 패턴은 객체 생성 클래스를..
2023.11.05 -
우아한테크코스 2주차[BE] 피드백
2주 차 공통 피드백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README.md를 상세히 작성한다 미션 저장소의 README.md는 소스코드에 앞서 해당 프로젝트가 어떠한 프로젝트인지 마크다운으로 작성하여 소개하는 문서이다. 해당 프로젝트가 어떠한 프로젝트이며, 어떤 기능을 담고 있는지 기술하기 위해서 마크다운 문법을 검색해서 학습해 보고 적용해 본다. => 앞으로 마크다운 문법으로 블로그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 기능 목록을 재검토한다 기능 목록을 클래스 설계와 구현, 함수(메서드) 설계와 구현과 같이 너무 상세하게 작성하지 않는다. 클래스 이름, 함수(메서드) 시그니처와 반환값은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너무 세세한 부분까지 정리하기보다 구현해야 할 기능 목록을 정리하는 데 집중한다. 정상적인 경우..
2023.11.03 -
우아한테크코스 6기[BE] 2주차 회고
2주차 미션의 내용은 자동차 경주였습니다. 함수 분리와 테스트 작성 2주차에서는 함수를 분리하고, 각 함수별로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 에 초점을 맞추는 게 핵심 주제였습니다. 따라서 1주차에서와 같이 TDD방법과 클린 코드에 유의하면서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test 코드를 먼저 작성한 후에 기능을 작성하였고 계속해서 리팩토링을 하며 미션을 진행했습니다. TDD를 이용한 방식으로 2번째 미션까지 완료하니 TDD의 장점이 와닿기 시작했습니다. TDD 작성을 통해, 지금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과 예외항목들을 명확히 정리할 수 있었고 구조를 먼저 생각하며 유지보수에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데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junit5와 test들에 대해 공부하며 @ParameterizedTest, fixtures 등을..
2023.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