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 27. 01:22ㆍ백준 & 프로그래머스
문제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4442
14442번: 벽 부수고 이동하기 2
첫째 줄에 N(1 ≤ N ≤ 1,000), M(1 ≤ M ≤ 1,000), K(1 ≤ K ≤ 1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 M개의 숫자로 맵이 주어진다. (1, 1)과 (N, M)은 항상 0이라고 가정하자.
www.acmicpc.net
풀이 및 코드
다른 사람들 코드를 보고 아직 한참 부족함을 느낀 문제다..
(k를 망치의 개수라고 표현하겠다)
필자는 bfs를 활용해 다음과 같은 인사이트를 가지고 문제에 접근했다.
- 특정 좌표에 방문했을 때 보다 망치를 조금 사용하고도 적은 거리로 방문한 적이 있다면 지금의 경로는 최단 경로가 아니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해당 좌표에 최소 거리로 도착했다고 할지라도 망치를 많이 소비 했다면 앞으로 어떻게 될 지 모르기 때문에 해당 경로가 최단경로임을 확신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checked를 3차원 배열로 만들어서 x, y좌표까지 망치 k소지한채로 접근했을 때의 최단 거리를 저장했다.
문제는 풀었지만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고 썩 좋은 알고리즘은 아니라고 생각되어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살펴보았다.
- 특정 좌표에 접근했을 때 보다 망치를 조금 사용하고도 적은 거리로 도착한 경우가 있다면 지금의 경로는 최단 경로가 아니다.
해당 인사이트는 맞았다. 현재 좌표까지 최소거리가 어떠하든 그것은 기준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해당 좌표에 최소 거리로 도착했다고 할지라도 망치를 많이 소비 했다면 앞으로 어떻게 될 지 모르기 때문이다. 해당 경로를 계속 진행할지 말지 결정하는 것은 다름아닌 소비한 망치의 개수이다.
bfs의 특성상 먼저 방문할 수록 거리가 더 짧다. 따라서 나중에 방문 할 수록 거리가 늘어난다. 즉 이전에 방문한 것 보다 소비한 망치의 개수가 많다면 해당 경로는 거리도 길고 망치도 많이 사용했기에 최단경로가 아니게 된다. 하지만 망치의 개수가 더 크다면 그것은 어쩌면 최단경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checked를 2차원 배열로 만들어 x, y에 방문했을 때 소비한 망치를 저장해 두고, 방문을 할 때 저장된 값보다 망치를 많이 소비했다면 bfs를 진행하지 않았다. 반대로 보다 망치를 조금 소비했다면 bfs를 진행시켰다.
해당 문제는 solved.ac 기준 골드3에 랭크되어 있다. (3치고는 어렵지 않나?)
'백준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655번: 가운데를 말해요 - python (0) | 2023.01.28 |
---|---|
[백준] 12865번: 평범한 배낭 (Knapsack Problem) - python (0) | 2023.01.27 |
[백준] 10942번: 펠린드롬? - 파이썬 (0) | 2023.01.16 |
[백준] 2186번: 문자판 - 파이썬 (0) | 2023.01.12 |
[백준] 1766번: 문제집 - 파이썬 (0) | 2023.01.11 |